맨위로가기

허욱 (154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욱은 1548년에 태어나 1616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1572년 춘당대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으며, 임진왜란 당시 금강 방어, 청주성 탈환에 기여했다. 이후 충청도순찰사, 충청도관찰사,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했으나, 광해군 즉위 후 파직당하고 유배되었다. 사후 관직이 복구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공주목사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조선의 공주목사 - 최립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문장가인 최립은 1561년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고, 뛰어난 문장과 외교적 역량으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와의 외교 문서 작성에 기여했으며, 당대 문인들과 교류하며 이름을 떨쳤으나 당쟁 속에서 비판을 받기도 하고 사후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1618년 사망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618년 사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1548년 출생 - 조르다노 브루노
    조르다노 브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철학자, 수학자, 점성술사, 시인으로서, 혁신적인 무한 우주론과 다원 우주론을 주장하다 가톨릭교회로부터 이단으로 규정되어 화형당했으나,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상의 자유의 상징이 되었다.
  • 1548년 출생 - 요시히메
    요시히메는 모가미 요시미쓰의 여동생이자 다테 마사무네의 어머니로, 정략 결혼을 통해 다테 가문과 모가미 가문의 관계를 유지하고 가문 내외의 분쟁 해결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이다.
허욱 (1548년)
기본 정보
허욱의 초상
허욱의 초상
본관김해(金海)
자(字)성옹(聲翁)
호(號)하곡(霞谷), 석문(石門)
시호(諡號)문간(文簡)
생애
출생1548년
사망1615년
묘소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가족
아버지허자(許磁)
어머니양천 허씨(陽川 許氏)
부인파평 윤씨(坡平 尹氏)
아들허성(許 tick)
윤황(尹煌)에게 출가
형제형: 허봉
형: 허성(許 tick)
동생: 허균
사촌허잠

2. 생애

허욱은 1572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591년 공주목사를 지냈으며,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금강 방어, 청주 전투 승리 등에 공을 세워 1593년 충청도순찰사와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 이후 명나라에서 식량을 얻어오는 데 기여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1604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1606년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까지 올랐으나, 광해군 즉위 후 대북 세력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1611년 복직되었으나 능창군 추대 사건으로 다시 유배되어 원주에서 사망했다. 사후 관직이 복구되고 청백리에 선정되었다.[1]

2. 1. 초기 관직 생활

1572년 춘당대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591년 공주목사가 되었다.[1]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을 방어하고 의병장 조헌,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 전투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청주성을 탈환하여 1593년 충청도순찰사와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1]

명나라에서 조 2만 7000섬을 얻어오는 데 청량사로 활약하였다.[1] 이후 강계 부사, 의주 부윤, 평안도관찰사, 병조참판,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등을 거쳐 1604년 이조판서가 되었다.[1]

2. 2. 임진왜란 시기의 활약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을 방어하고 의병장 조헌,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 전투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청주성을 탈환하여 1593년 충청도순찰사,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1]

2. 3. 전란 이후의 관직 생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을 방어하고 의병장 조헌,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 전투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청주성을 탈환하여 1593년 충청도순찰사 및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1]

명나라에 청량사가 되어 조 2만 7000섬을 얻어오는 데에도 성공했다.[1] 이후 강계 부사, 의주 부윤, 평안도관찰사, 병조참판, 한성부판윤, 호조판서 등을 거쳐 1604년 이조판서가 되었다.[1]

2. 4. 정쟁과 유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을 방어하고 의병장 조헌, 승병장 영규와 함께 청주 전투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청주성을 탈환하여 1593년 충청도순찰사 및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1]

1606년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까지 승진했으나, 1608년 광해군 즉위 후 유영경이 영의정 자리에서 쫓겨난 것과는 달리 허욱은 자리를 지켰다.[1] 그러나 대북 세력의 탄핵으로 소북 유영경의 일파로 몰려 파직당했다가, 1611년 광해군의 배려로 직첩을 돌려받고 다시 조정에 나갔다.[1] 능창군 추대 사건으로 1616년 다시 직첩을 환수당하고 원주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1]

2. 5. 사후 평가

허욱은 사후 관직이 복구되었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1]

3. 가족

관계이름
고조부허종
증조부허확
조부허흡
아버지허응
외조부신광수 이상[1][2]
외조모원주 원씨 (원여의 딸)[3]
어머니전주 이씨 이돈현 (1513년 ~ ?)


3. 1. 부모


  • 아버지 : 허응(許凝)
  • 외조부 : 신광수(神光守) 이상(李詳)[1][2]
  • 외조모 : 원주 원씨 - 원여(元畬)의 딸[3]
  • 어머니 : 전주 이씨 이돈현(李敦賢, 1513 ~ ?)

3. 2. 조상


  • 고조부: 허종
  • 증조부: 허확(許確)
  • 조부: 허흡
  • 아버지: 허응(許凝)
  • 외조부: 신광수(神光守) 이상(李詳)[1][2]
  • 외조모: 원주 원씨 - 원여(元畬)의 딸[3]
  • 어머니: 전주 이씨 이돈현(李敦賢, 1513 ~ ?)

4. 허욱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가계도 태조 (조선) - 진안대군 5대손
[2] 가계도 태종 (조선) - 근녕군 증손자
[3] 가계도 태종 (조선) - 혜령군 외증손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